권찡's 공학이야기

스튀름-리우빌 이론(Sturm-Liouville Theory) ver.1 본문

mathematics/engineering math

스튀름-리우빌 이론(Sturm-Liouville Theory) ver.1

권찡 2018. 11. 8. 20:06

뒤에 다룰 르장드르 미분방정식, 기타 등등을 다루기 위해서 먼저 스튀름-리우빌 이론에 대해서 알고 갑시다.



앞서 정리한 프로베니우스 방법이 단순하다면, 스튀름-리우빌 이론은 포괄적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미분방정식 이론은 규칙이 별로 없고 , 각각 마다 해법이 등장하는게 일반적이지만, 모든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의 해를 예측할수 있는 


스튀름-리우빌 이론은 적용범위가 거대하다고 할수 있죠.




스튀름-리우빌 미분 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5Cfrac%20%7B%20d%20%7D%7B%20dx%20%7D%5Bp(x)%5Cfrac%20%7B%20dy%20%7D%7B%20dx%20%7D%5D-q(x)y%2B%5Clambda%20r(x)y%3D0%20




여기서 람다는 상수이며, 기타 p,q,r 은 실수인 함수로 가정합니다.


여기서 p(x)는 미분 가능해야하며, q(x)는 특별한 제약은 없고, r(x)는 전체 구간에서 항상 0보다 커야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방정식은 선형 방정식이므로 p,q,람다 의 갑셍 따라 해의 공간은 백터 공간은 이룹니다.


여기서 스튀름-리우빌 문제는 해의 공간이 0차원이 아닌 람다들의 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정말 신기하게도 위의 스튀름-리우빌 미분 방정식의 표현형태는 모든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을 표현할수 있습니다.


가령 아래와 같이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 주어졌다고 해봅시다.


P(x)y''%2BQ(x)y'%2BR(x)y%3D0%20




양변을 P(x)로 나누고 , 양변에 적분인자%5Ccombi%20%5E%7B%20%5Cint%20%7B%20Q(x)%2FP(x)dx%20%7D%20%7D%7B%20e%20%7D%20를 곱하고 나서 정리하면 됩니다.




사실 스튀름-리우빌 미분 방정식만 이해하고 있다면 공학 분야에 나오는 대부분의 미분 방정식을 푸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이론을 모르고 대학을 졸업했다면 수학 포기했다는 말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좀 자세하게 알아봅시다. 이번에는 정리할 내용이 굉장히 길것입니다.



먼저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을 위와 같은 스튀름-리우빌 방정식과 같이 표현할수 있는가에 대해 알아봅시다.

P(x)y''%2BQ(x)y'%2BR(x)y%3D0%20


y''%2BA(x)y'%2BB(x)y%3D0%5Cquad%20%2F%2F%5Cquad%20A(x)%3DQ(x)%2FP(x)%5Cquad%20%2C%5Cquad%20B(x)%3DR(x)%2FP(x)%20  


이러한 2차 선형 미방을 아래와 같은 형태로 바꿔보는 것이죠



%5Cfrac%20%7B%20d%20%7D%7B%20dx%20%7D%5Bp(x)%5Cfrac%20%7B%20dy%20%7D%7B%20dx%20%7D%5D-q(x)y%2B%5Clambda%20r(x)y%3D0%20





적분인자를 통해서 증명해보겠습니다.



%5Cfrac%20%7B%20d%20%7D%7B%20dx%20%7D%5Bp(x)%5Cfrac%20%7B%20dy%20%7D%7B%20dx%20%7D%5D%5Cquad%20%3D%5Cquad%20%5Cfrac%20%7B%20dp(x)%20%7D%7B%20dx%20%7D%5Cfrac%20%7B%20dy%20%7D%7B%20dx%20%7D%2Bp(x)%5Cfrac%20%7B%20%5Ccombi%20%5E%7B%202%20%7D%7B%20d%20%7Dy%20%7D%7B%20%5Ccombi%20%5E%7B%202%20%7D%7B%20dx%20%7D%20%7D%20


p(x)%5Cfrac%20%7B%20%5Ccombi%20%5E%7B%202%20%7D%7B%20d%20%7Dy%20%7D%7B%20%5Ccombi%20%5E%7B%202%20%7D%7B%20dx%20%7D%20%7D%2Bp(x)A(x)%5Cfrac%20%7B%20dy%20%7D%7B%20dx%20%7D%5C%5C%20%5Cdownarrow%20%5C%5C%20%5Cfrac%20%7B%20dp(x)%20%7D%7B%20dx%20%7D%3Dp(x)A(x)%5C%5C%20%5Cdownarrow%20%5C%5C%20p(x)%3D%5Ccombi%20%5E%7B%20%5Cint%20%7B%20A(x)%5Cquad%20dx%20%7D%20%7D%7B%20e%20%7D%20




잘 보시면 p(x) 가 적분인자인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 식을 일반적인 2차 선형미방 식에 대입하여 아래의 식을 얻습니다.



%5Cfrac%20%7B%20d%20%7D%7B%20dx%20%7D%5Bp(x)%5Cfrac%20%7B%20dy%20%7D%7B%20dx%20%7D%5D%2Bp(x)B(x)y%3D0%5C%5C%20p(x)%3D%5Ccombi%20%5E%7B%20%5Cint%20%7B%20A(x)dx%20%7D%20%7D%7B%20e%20%7D%5C%5C%20B(x)%3D%5Cfrac%20%7B%20%5Clambda%20r(x)-q(x)%20%7D%7B%20p(x)%20%7D%20







물론 다른 방식도 있습니다.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깊게 들어가면 고유치와 가중치 함수 등등 설명해야 될 내용이 많습니다. 이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 내기는 어렵네용. 


깊이 들어가려면 지금 정리한 내용만 가지고는 힘드므로 어느정도 정리가 진행되고 다시 재정리 할것입니다.





스튀름-리우빌 방정식의 예를 든다면 베셀 방정식이나 르장드르 방정식이 대표적입니다.


%EC%98%88)%5Cvarphi%20''(x)%2B%5Clambda%20%5Cvarphi%20(x)%3D0%5Cquad%20%EC%9D%B4%EB%9F%B0%5Cquad%20%EB%B0%A9%EC%A0%95%EC%8B%9D%EC%9D%B4%EB%82%98%5Cquad%200%EC%B0%A8%5Cquad%20%EB%B2%A0%EC%85%80%5Cquad%20%EB%B0%A9%EC%A0%95%EC%8B%9D%5C%5C%20%5C%5C%200%EC%B0%A8%5Cquad%20%EB%B2%A0%EC%85%80%5Cquad%20%EB%B0%A9%EC%A0%95%EC%8B%9D%5C%5C%20%5C%7Bx%5Cpsi%20'(x)%5C%7D'%2B%5Clambda%20%5C%7Bx%5Cpsi%20(x)%5C%7D%3D0%20





이런 스튀름- 리우빌 방정식의 초기조건 혹은 경계조건이 만족시키는 해를 찾는 문제를 스튀름 리우빌 문제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보면


%EB%AC%B8%EC%A0%9C.%5Cquad%20y''%2B%5Clambda%20y%3D0%5Cquad%20%5Cquad%20y(0)%3D0%5Cquad%20y(L)%3D0%5Cquad%20%EC%9D%84%5Cquad%20%EB%A7%8C%EC%A1%B1%ED%95%98%EB%8A%94%5Cquad%20%EB%9E%8C%EB%8B%A4%EB%A5%BC%5Cquad%20%EC%B0%BE%EC%95%84%EB%9D%BC%5C%5C%20%5C%5C%20%ED%95%B4%EB%B2%95.%5Cquad%20%5C%5C%20%EC%9E%90%EB%A9%B4%ED%95%9C%5Cquad%20%ED%95%B4%5Cquad%20y%3D0%EC%9D%84%5Cquad%20%EC%A0%9C%EC%99%B8%ED%95%98%EA%B3%A0%5Cquad%20%ED%92%80%EC%96%B4%EB%B4%85%EC%8B%9C%EB%8B%A4.%5Cquad%20%5C%5C%20%EC%9C%84%5Cquad%20%EB%AF%B8%EB%B6%84%EB%B0%A9%EC%A0%95%EC%8B%9D%EC%9D%80%5Cquad%20%EA%B7%B8%EB%83%A5%5Cquad%20%EC%83%81%EC%88%98%ED%95%AD%EC%9D%84%5Cquad%20%EA%B0%80%EC%A7%84%5Cquad%20%EB%AF%B8%EB%B6%84%EB%B0%A9%EC%A0%95%EC%8B%9D%EC%9D%B4%EB%9D%BC%EA%B3%A0%5Cquad%20%EB%B3%B4%EB%A9%B4%5Cquad%20%EB%B3%B4%EC%A1%B0%EB%B0%A9%EC%A0%95%EC%8B%9D%EC%9D%84%5Cquad%20%EC%9D%B4%EC%9A%A9%ED%95%B4%5C%5C%20%5Ccombi%20%5E%7B%202%20%7D%7B%20t%20%7D%2B%5Clambda%20%3D0%5C%5C%20t%3D%5Csqrt%20%7B%20%5Clambda%20%20%7Di%5Cquad%20%5C%5C%20y%3DAcos%5Csqrt%20%7B%20%5Clambda%20%20%7Dx%2BBsin%5Csqrt%20%7B%20%5Clambda%20%20%7Dx%5Cquad%20%5Cquad%20%5Cquad%20%EC%9D%B4%EB%A0%87%EA%B2%8C%5Cquad%20%EB%AF%B8%EB%B6%84%EB%B0%A9%EC%A0%95%EC%8B%9D%EC%9D%84%5Cquad%20%ED%92%80%EC%88%98%EC%9E%88%EC%8A%B5%EB%8B%88%EB%8B%A4.%5C%5C%20%EA%B2%BD%EA%B3%84%EC%A1%B0%EA%B1%B4%EC%9D%84%5Cquad%20%EB%8C%80%EC%9E%85%ED%95%98%EB%A9%B4%5Cquad%20A%3D0%EC%9D%B4%5Cquad%20%EB%82%98%EC%98%A4%EA%B3%A0%5C%5C%20y%3DBsin%5Csqrt%20%7B%20%5Clambda%20%20%7DL%3D0%5Cquad%20%EC%9D%84%5Cquad%20%EB%A7%8C%EC%A1%B1%ED%95%B4%EC%95%BC%5Cquad%20%ED%95%A9%EB%8B%88%EB%8B%A4.%5Cquad%20%5Cquad%20%EC%9D%B4%EB%95%8C%5Cquad%20sin%ED%95%A8%EC%88%98%EA%B0%80%5Cquad%200%EC%9D%B4%5Cquad%20%EB%90%98%EB%8A%94%5Cquad%20%EA%B0%81%EC%9D%84%5Cquad%20%EA%B5%AC%ED%95%B4%5Cquad%20%EC%88%98%EC%97%B4%EB%A1%9C%5Cquad%20%EB%82%98%5C%5C%20%EC%97%B4%ED%95%B4%5Cquad%20%EB%B4%85%EC%8B%9C%EB%8B%A4.%5C%5C%20%5Csqrt%20%7B%20%5Clambda%20%20%7DL%3D0%2C%5Cpi%20%2C2%5Cpi%20%2C3%5Cpi%20%5Cquad%20......%5Cquad%20n%5Cpi%20%5Cquad%20%5Cquad%20%EC%9D%B4%EB%9F%B0%5Cquad%20%EC%8B%9D%EC%9C%BC%EB%A1%9C%5Cquad%20%EB%82%98%EC%97%B4%5Cquad%20%EB%90%A9%EB%8B%88%EB%8B%A4.%5Cquad%20%EC%B5%9C%EC%A2%85%5Cquad%20%EB%AA%A9%ED%91%9C%EB%8A%94%5Cquad%20%5Clambda%20%EB%A5%BC%5Cquad%20%EA%B5%AC%ED%95%98%EB%8A%94%5Cquad%20%EA%B2%83%EC%9D%B4%EB%AF%80%EB%A1%9C%5Cquad%20%5C%5C%20%EC%A0%95%EB%A6%AC%ED%95%B4%EB%B3%B4%EB%A9%B4%5C%5C%20%5Cquad%20%5Clambda%20%3D%5Ccombi%20%5E%7B%202%20%7D%7B%20(%5Cfrac%20%7B%20n%5Cpi%20%20%7D%7B%20L%20%7D)%20%7D%5C%5C%20%20



실제 예를 보면 생각보다는 간단합니다



이런 스튀름-리우빌 형태의 미분 방정식은 그 해로 주어진 함수가 서로 다른 고유치에 대해서 직교성을 가지는 성질이 있다는 것 정도

람다값은 점점 증가한다는 점(발산)

하나의 고유값에 대응하는 고유함수는 무수히 많지만, 서로 상수배인점 만 일단 알아둡시다.



또한 가령 아래와 같다고 하면



%5C%5C%20%5C%7Bs(x)y'%5C%7D'%2B%5C%7B%5Clambda%20p(x)-q(x)%5C%7Dy%3D0%5C%5C%20%5C%5C%20s(a)p(a)%5Cneq%200%2C%5Cquad%20s(b)p(b)%5Cneq%200%5Cquad%20%EC%9D%B8%EA%B2%BD%EC%9A%B0%5Cquad%20%EC%A0%95%EA%B7%9C%EB%AC%B8%EC%A0%9C%5C%5C%20%EA%B7%B8%5Cquad%20%EC%97%AD%EC%9D%B8%5C%5C%20s(a)p(a)%3D0%2C%5Cquad%20s(b)p(b)%3D0%5Cquad%20%EC%9D%B8%EA%B2%BD%EC%9A%B0%5Cquad%20%ED%8A%B9%EC%9D%B4%5Cquad%20%EB%AC%B8%EC%A0%9C%5C%5C%20%EB%9D%BC%EA%B3%A0%5Cquad%20%ED%95%A9%EB%8B%88%EB%8B%A4%20




위와 같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