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찡's 공학이야기
연립 미분방정식 여러가지 Solution 본문
지금까지 상미분 방정식에 대해서 풀이법을 정리했습니다.
이제부터는 연립 미분방정식에 대해서 다뤄봅시다.
연립방정식을 언제 배웠는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연립 방정식과 마찬가지로 연립 미분방정식도 비슷하게 풀수 있습니다.
가감법, 대입법, 소거법 등등 모든지 적용해서 푸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중에서 행렬을 이용해서 연립방정식을 푸는 법이 있습니다.
이런 행렬을 이용해서 미분방정식도 풀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립 미분방정식을 풀어낼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립 미분방정식이 1계 미방으로만 되어있지는 않습니다.
그럴경우 앞서 말한 가감법이나 소거법을 이용해서 풀수도 있죠
구해진 x값을 이용해서 미분 방정식에 대입해 y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생각보다 매우 간단하지만 잘 보면 제차 미방간의 연립입니다.
다뤄야 될 내용은 비제차 연립미방이죠
자주 사용되는 풀이법으로는 4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미분연산자, 미정계수법, 대각화법, 변수변환법 그리고 나중에 다룰 적분변환(라플라스,z변환,푸리에) 등등이 있습니다.
1. 미분연산자
이 방법은 위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있다 해봅시다.
이것을 미분 연산자로 표현한다면
이런식이 될것입니다.
가감법을 통해서 x를 없애봅시다.
미분 연산자를 활용해서 연립 미방을 푸는 방식입니다.
2. 미정계수법
비제차 미분방정식에서 특수해를 미정계수법으로 풀이하는 것을 다뤘습니다. 연립 미분방정식 역시 미정계수를 정해서 풀어내는 것이죠
위에서의 문제를 그대로 가져와보겠습니다.
행렬로 표현하면
이때 R(x)값이 없다면 우리는 행렬을 통해서 homogeneous 해를 구할수 있었습니다. 고유치와 고유백터를 이용해서
이제 특수해를 구하기 위해서 미정계수를 설정합시다.
위의 문제와 같은 경우 지수함수와 삼각함수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특수해를 가정합니다.
이런식으로 U,V,W를 각각 백터 취급해 특수해로 설정합니다.
이런 특수핼르 미분 방정식에 대입하겠습니다.
미지수가 있는 항은 전부 좌변으로 이항시켜 성립시켜봅시다.
지수함수의 경우는 계수 계산이 간단하네요
삼각함수의 계수는 cos함수와 sin함수 양쪽의 계수에 대해서 연립 방정식으로 풀어야합니다.
계산을 하게 되면
이런 값이 나옵니다.
결과적으로 특수해의 미지 행렬 값을 다 구할수가 있는 것이죠
3. 대각화법
연립 미분방정식에서 특히나 대각화법을 통해서 풀릴것 같은 문제는 대각화법을 통해서 푸는 것이 좋습니다. 계산 시간이 많이 단축됩니다.
대각화법이란 1차 연립미방에서 적용하기 쉬운 방법입니다. 이중에서 서로 다른 고유값을 갖는 연립 미방에 적용시키는 방법이죠
선형대수의 지식을 조금 알아야 이해하실수 있는데 행렬에는 직교행렬, 대칭행렬. 교대행렬 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이중에서 A라는 행렬이 대각화가 된는 행렬, 즉 |A|=0 이 되지 않는 행렬들이 대각화가 가능하다는 것만 일단 알고 넘어갑시다. 앞서 말한 행렬들 중에서는 대칭 행렬은 무조건 대각화가 가능합니다.
이런 대각화를 이용해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는 것입니다.
기존의 행렬 A와 고유백터, 고유값으로 이뤄진 행렬 사이에 아래와 같은 관계가 존재하면 대각화가 되는 것이죠
이런 것을 실제 미분 방정식에 적용시켜보겠습니다.
말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역시 예를 들어서 이해하는게 가장 좋겠죠
이러한 미분 방정식이 있다고 해보면
A행렬은 Y앞에 있는 행렬입니다.
이 행렬의 고유값은 -2,-4 이며, 이에 따른 고유벡터는 (1,1)(1,-1) 입니다.
즉
따라서
이렇게 식을 고치면 Z에 관한 1계 연립 미방이 됩니다.
각각의 성분을 나눠서 풀기 편해짐에 따라서 Z를 간단히 풀수 있게 되는 것이죠
위 미방을 풀고 나서 Y을 구하면 됩니다.
4. 변수변환법
이 방법은 조금더 어려운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행렬이 백터의 개념을 가지는 것을 알고 , 그에 따른 성질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죠
앞서 대각화법이 각각 행렬의 원소를 정리해 서로 연관성이 없게 하여서 푸는 방법이라면, 이번엔느 homogeneous해를 가지고 특수해를 유추하는 방식의 풀이입니다.
homogeneous해를 먼저 구하게 되면
이렇게 나오게 됩니다.
이것을 표현을 조금 바꿔보겠습니다.
변수 변환법에서는 앞서 C행렬을 변수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즉 C 대신 새로이 U 행렬을 정의하여, 이를 미분방정식에 대입하여 만족하는 행렬을 찾는 것입니다.
대입을 해보면 아래와 같이 되겠죠
여기에 일반해의 행렬 관계들의 식을 이용하여 조금 귀찮은 작업을 거치고 나면, 아래의 결론은 얻게 됩니다.
여기서 b행렬은 제가 쓴 행렬에서 G 행렬과 같은 말입니다.
적용시켜봅시다.
이런 방식으로 구하는 것이 변수변환법입니다.
'mathematics > engineering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튀름-리우빌 이론(Sturm-Liouville Theory) ver.1 (2) | 2018.11.08 |
---|---|
미분방정식(ODE) 풀이-프로베니우스 해법 (0) | 2018.11.08 |
특수한 미분방정식(클레로 미분방정식) (0) | 2018.10.30 |
특수한 미분방정식(리카티 미분방정식) (0) | 2018.10.30 |
특수한 미분방정식(코시 오일러 미분방정식) (1) | 2018.10.30 |